2차세계대전이 끝난 후 오스트리아는 최악의 경제위기를 맞이하였습니다. 모든 기반시설은 붕괴되었고, 산업생산활동은 정지되었습니다.
1948년에 Marshallplan, 즉 마샬경제계획이 시작되었습니다. 이것은 독립적인 경제기반을 확충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.
종전 후 초창기의 오스트리아 경제원동력은 국영기업들이었습니다. 1952년에는 오스트리아 실링이 안정된 통화로 인정받았고, 그 후 경제성장률은 매년 두 자리 수를 기록하였습니다. 기업들은 번창하였고, 주거 및 사회기반시설의 질은 괄목하게 좋아졌습니다.
오스트리아 경제성공요인 중에 중요한 것은 바로 '사회적 파트너쉽' 개념입니다. 근로자 대표와 사용자 간의 협력은 합리적인 봉급과 투자를 원활하게 하는 기초가 되었습니다.
이 경제호황은 1970년대에 오일쇼크로 말미암아 끝났습니다.
지난 십수년동안 가장 중요한 요소로 오스트리아 경제에 영향을 끼친 점들은 1995년의 오스트리아 유럽연합 가입, 동유럽국가 개방 그리고 동유럽 지역으로의 유럽연합 확대 등이 있다고 하겠습니다.